공부/리눅스서버

P420 노트북으로 이전 이야기...

시호스트 2017. 11. 30. 00:26
반응형

기존 테스트 용으로 사용하던 넷북이 딱히 느리거나 무슨 문제가 있는것이 아닙니다.

다만.. 고장나고 수리한 lg p420으로 갈아탔습니다.


엘지 제품은 저와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.ㅠㅠ

엘지 제품만 제손에 오면 뭐든 다 고장이 납니다.


떨어트리지도 않았는데 액정에 줄이 쫙쫙..ㅠㅠ

왜인지 모르게 보증기간끝나자마자 하드 사망.

그 후 사용중 꺼짐현상과 함께..ㅠㅠ 결국은 메인보드 망..


12만원 상당의 수리비를 지불 하고 찾아왔습니다.


암튼..이런저런 이야기를 끝내고,


본격 서버이전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.

지금까지 단 한번도 이전을 해본적이 없어서 걱정을 했지만.

너무나도 간단했습니다.

다만 예전 서버와 똑같이 세팅 하는데 시간이 더 걸린듯 합니다.

오랫만에 하는 서버 세팅이라 기존과 같이 하려고 하니..참... 뭘 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.

하지만... 잘 했습니다..열심히...


일단 먼저 파일들부터 압축합니다.


전 zip으로 압축했습니다.

웹파일들을 걍 압축합니다.


# zip -r 압축파일명.zip 디렉토리 경로~~~/

그럼 전체 경로로 압축이 쫙 되게 합니다.

저도 zip 압축은 처음이라..


모든 경로가 다 압축이 되더군요.

윈도우 상에서 확인하고, 웹서버 파일만 따로 압축했습니다.


그럼 일단 웹서버 파일은 끝...


이제 DB파일들을 추출해봅시다.


# mysql -u root -p 

로 접속하고, 

> show databases;

로 백업 및 다운로드 할 DB를 확인합니다.


전 일반 사용자로 접속해서 root 로 변경 후 작업을 진행 하였습니다.


이제 백업을 해봅시다.


# mysqldump -u 사용자명 -p패스워드 DB이름 > DB이름.bak.sql


DB이름.bak.sql 파일이 생성됩니다.


그럼 아까 압축한 웹서버 파일과 DB이름.bak.sql를 ftp로 다운 받고 새로운 서버에 업로드 합니다.



이제 아까와 같은 일을 반대로 합시다.


압축한 웹서버 파일을 같은 경로에 압축을 풀어주고

# mysql -u 사용자명 -p패스워드 DB이름 < DB이름.bak.sql


이제 끝... 모든게 끝..


아니지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다시 해주자.. 


설정 다 하고 정상작동하는지 접속해 보았다.

어머....잘뜬다...로그인도 잘된다.



근대 메뉴랑 레이아웃 적용메뉴에서 약간 오류가 나왔다.

하지만 상콤하게 캐시파일 재생성을 하니 말끔히 완료.


반응형